검색

마리아가 선택한 좋은 것이 무엇인가?

마리아가 선택한 좋은 것이 무엇인가?

 

 

 

 

 

마리아가 선택한 좋은 것이 무엇인가? (눅10:38-42)


모두 다 예수님을 사랑하는 데 거기에는 늘 문제가 있다.

균형의 문제인가?
... 아니다.


교회 안에는 조화가 필요하다.
섬김과 예배가 함께 가야 한다.
즉 균형의 영성이 이루어져야 한다.
예배의 제단과 섬김의 부엌 사이에 다리가 필요하다.

교회의 기본은 다 예수님을 사랑하는 사람들이 모여서 일하고 섬기는 곳이다.
그런데 왜 그곳에 문제가 생기는가?
오늘 마르다는 왜 문제가 발생했는가?

다 예수님을 사랑하는 사람인데 왜 문제가 발생하는가?

그것은 과도한 염려와 근심이다.

"주께서 대답하여 이르시되 마르다야 마르다야 네가 많은 일로 염려하고 근심하나"(눅10:41)

여기서 근심은 시끄럽다라는 말에서 나왔고 근심은 혼란하게 만들었다라는 뜻이다.
예수님이 오셔서 말씀을 전할 때 마리아는 말씀을 듣고,
마르다는 부엌에서 일을 했다.

그런데 문제는 마르다가 일 안하고 있는 마리아를 보고 분통이 터졌다.
내가 얼마나 바쁜데 내가 얼마나 일을 많이 하는데 너는 그러고 있냐는 것이다.
그래서 이 일로 사람들 사이에서 문제를 시끄럽게 만들고 소리지르고 예수님께 항의를 하는 것이다

그랬더니 예수님은 몇 가지를 하든지,
또는 한 가지를 하든지 그것이 족하다.
마리아는 좋은 쪽을 택했는데 뺏앗기지 않을 것이라 말했다.


핵심이 무엇인가?
내가 감당할 수 있는 만큼의 일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.

내 수고와 봉사가,
아니 내가 드리는 예배조차도 내 마음의 평화를 깨뜨리는 것이 된다면
그것은 내려놓고 내 마음에 평안이 깨지지 않는 좋은 것을 택하라는 것이다.

예수님이 주시려고 한 것은 하늘의 평강이다.
그런데 우리는 하늘의 평강의 주체이신 예수님을 서로 사랑하면서
그 평강을 깨는 과도한 어떤 것으로 주님의 마음을 불편하게 한다.
사람들 사이에서 시끄럽게 하고 ,
사람들의 평안을 깨는 주체가 된다.

예수님이 말씀하시는 좋은 편은
예배, 말씀 듣는 것 만을 말하지 않는다.
몇 가지를 하든 혹 한가지 만을 해도
좋은 편 즉 내 마음의 평안을 깨뜨리지 않는 편을 택하라는 것이다.

우리의 문제는 예수님을 사랑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
과도한 수고와 봉사로
우리의 마음에 찾아오는 염려와 근심 즉 시끄러움의 한계를 이기지 못한다는 것이다.

예수님을 위해 일도 해야 한다.
예배도 드려야 한다.
그러나 내 마음에 평안을 깨는 어떤 것도 용납해서는 안되고
많은 것을 하든 한가지를 하든 염려하지 않고 근심하지 않는 평안을 선택하라는 것이다.


우리의 문제는 과도한 열심이 아니라 흘러 넘치는 은혜로 일해야 한다.
"Overwork" 가 아니라 "Overflow" 가 되어야 한다.

과도한 일은 염려와 근심을 갖고 결국 자신의 내면을 시끄럽게 하고
교회를 시끄럽게 하고 마음 아프게 해서 결국 하나님이 그렇게 지키라고 하신 평안을 깨어지게 한다.

예수님의 선택은 늘 평안이다.
그래서 우리는 늘 예배와 섬김의 중간에 있어야 한다.
세상의 법칙은 받은 것 만큼 내 놓게 되어있다.
영적으로도 마찬가지다.
받은 것으로 주는 것이다.

받은 것 이상 내놓으면 시끄럽게 된다.
교회안에 이런 시끄러운 사람들이 너무 많다.
균형이 없어서가 아니라 받지 않고 일해서 그렇고
내 안의 평안이 감당하지 못하는 일을 해서 그렇다.

한가지를 해도 좋은 쪽이 뭔지 분별할 수 있는 지혜가 필요하다.

마귀는 늘 우리의 분주함과 염려와 그로 인한
소란스러움과 시끄러운 상태를 원한다.

마음의 평안을 깨지 않는 좋은 쪽
그것이 예수님이 우리에게 원하시는 한가지다.


*사진은 일년에 한번 있는 사역자 미팅입니다.
감사하게 올해는 전도사님들까지 다 모여 미팅을 했습니다. 사역자들만 24명이 되었습니다.
해마다 성장하는 사역현장으로 하나님께 영광을 돌립니다.

Pastor Seo

Pastor Seo